한국음식의 종류 및 특징, 식재료, 상차림, 식사 예절 등의 한국음식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한다. 조리기구 사용 및 관리, 식품의 계량법, 위생 및 안전관리, 기초조리법 등의 조리 실습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을 학습한다.
서양조리(Basic Western Cuisine)
서양조리의 개요와 역사, 종류 및 기초조리의 3S(stock, sauce, soup) 이론적인 체계를 정립한다. 현대 서양조리의 흐름을 파악하면서 배우고, 조리에 기본이 되는 용어를 연구함으로써 조리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넓힌다.
조리과학(Practice in Cooking Science)
식품에서의 사용되는 발효의 원리를 이해하고, 기초적 미생물들의 이용 방법을 공부하여 전통적인 장류 및 주류, 김치 및 기타 채소류의 유산균 발효식품, 치즈 및 요구르트 등의 낙농 발효제품의 제조 원리 및 제조 방법을 강의하고 제조 기법을 습득하도록 한다.
외식산업론(Food Service Industry)
외식산업의 현황, 문제점, 개념 및 외식업을 운영을 위해 필요한 메뉴경영, 인사관리, 마케팅, 재무, 식자재 관리 등을 중심적으로 습득하고 이해를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제과제빵(Physical Properties)
제과제빵 실습을 통하여 제조 과정이 이루어지는 공정들을 배우고, 조리에 기본이 되는 용어를 연구함으로써 제과제빵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넓힌다.
소스실습(Sauce Practice)
요리의 기본 구성은 주재료와 부재료, 소스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소스는 음식 본연의 맛을 깊게 하고, 그 맛을 다른 요리들이 가진 미세하고 섬세한 맛의 차이를 통합하는 데 있다. 본 교과목은 소스의 구성요소 및 분류, 재료에 대한 학습을 실습을 통하여 익힌다. 기본 소스로부터 파생소스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소스에 대하여 학습을 함과 동시에 한국요리, 동양요리, 서양요리, 디저트에 이르는 전반적인 소스의 기초와 응용과정을 학습하여 실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교과목의 목표이다.
이탈이아요리실습(Italian Cuisine)
세계요리 원류인 이태리요리의 조리법을 습하고, 이탈리아 각 지역 특성을 파악하고 지역 산물을 이용한 이태리 음식을 실습을 통해 익힌다. 또한, 프랑스 조리의 개요와 역사, 식재료의 종류, 식문화의 특성, 프랑스 수업을 통하여 프랑스 요리에 대한 기본 조리법과 지역적 특산물을 이용한 프랑스 요리를 실습하며, 프랑스 식재료에 대한 이해와 메뉴 등을 익힌다.
자기개발과진로설계1
전공 교수와의 면담과 철저한 자기분석을 통하여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설계하고, 그에 맞는 자기 브랜드 및 역량과 리더십을 개발하여 사회에서 영향력 있는 인재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하는 전공형 커리어(Career) 개발 교과목이다. 본 교과목은 전공필수로 이수 되며 학생은 담당 교수와의 면담과 자기분석 프로그램에 따라 본인의 진로를 설계하고 이에 따른 자기개발을 실천하게 된다.
자기개발과진로설계2
전공 교수와의 면담과 철저한 자기분석을 통하여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설계하고, 그에 맞는 자기 브랜드 및 역량과 리더십을 개발하여 사회에서 영향력 있는 인재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하는 전공형 커리어(Career) 개발 교과목이다. 본 교과목은 전공필수로 이수 되며 학생은 담당 교수와의 면담과 자기분석 프로그램에 따라 본인의 진로를 설계하고 이에 따른 자기개발을 실천하게 된다.
조리원가관리(Cooking cost management)
조리원가 관리를 배움으로써 재고조사나 검수 관리를 배우고 메뉴별로 정확한 레시피와 작업 수율 작성하는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식품가공(Food Processing)
식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이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식품에 관한 기초지식과 식재료의 물리적, 화학적, 미생물적 처리 기술, 저장 및 포장에 필요한 지식을 배우고 각 식품의 가공에 대한 지식을 통하여 식품의 품질변화 및 가공공정의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중국조리(Chinese Cuisine)
중국의 전통적인 음식에 대한 역사와 조리 방법의 특징을 이론적으로 익히고 실습을 통하여 조리 방법을 습득함으로써 자격증은 물론 전문 조리인 자질을 함양한다.
외식서비스영어(Culinary service English)
세계화 시대를 맞이하여 외식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조리 방법 및 조리에 필요한 재료, 기구와 설비의 정확한 명칭 및 외국인 손님에 대한 올바른 주문 방법 등에 관하여 원서를 통해 학습함으로써 기본적 영어로 의사소통과 조리 실무에 도움을 준다.
한국음식의스토리창업실습(Story Founded of Korean Food)
현대사회의 많은 사람이 선호하는 음식은 시대에 따라 변해 왔으며, 한 나라의 대표 음식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흘러야 한다. 최근에는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각 나라의 활발한 음식 교류로 인해 퓨전이 유행하고 있다. 본 교과목은 이러한 현실에서 한국음식 문화와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관련 외식사업체의 인기 메뉴를 분석하고 창업에 필요한 신상품을 개발하여 운영할 수 있는 실무능력을 배양한다.
푸드스타일링(Food styling)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생활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음식의 일차적 기능인 영양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오감을 통한 즐거움을 넘어 하나의 예술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실무 부분의 경험과 푸드스타일링에 필요한 기초적인 이론을 구체적인 현장 작업의 기술, 촬영테크닉, 음식의 조형과 색채 등을 통하여 다양하게 습득한다.
외식창업론(Opening Restaurant Business)
외식사업을 시작하는 데 필요한 창업의 단계별 절차, 입지와 업종 및 업태 선정, 시설, 관련 법규, 식품구매, 경영 및 조직관리, 손익 및 원가관리, 교육 및 인사관리, 마케팅계획 수립 등 전반적인 내용을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일본조리(Japanese Cuisine)
일본의 전통적인 음식에 대한 역사와 조리 방법의 특징을 이론적으로 익히고 실습을 통하여 조리 방법을 습득함으로써 자격증은 물론 전문 조리인의 자질을 함양한다.
식품구매론(Food Purchase)
조리에 필요한 각종 식재료의 특성과 유통과정을 분석, 적정 구매 시기와 구매량을 결정하는 능력을 기르고 식품 원료 구내에 대한 기본개념을 이해하여 식음료 원가에 대한 이론을 정립함으로써 현장 적용 능력과 관리자로서 능력을 배양한다.
식품재료학(Food Materials)
식품재료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식품으로의 이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식품 원료로서의 생물학적 특성을 밝히는 동시에 원료의 분포 및 생산을 공부한다.
칵테일및주장관리실습(Cocktail and Bar Management Practice)
알코올음료를 기본으로 다루며, 칵테일 제조 및 알코올음료의 종류를 학습하여 폭넓은 음료의 이해를 키우고 Bar 영업의 기초를 익히고, 실제로 음료를 제조하여 본다.
조리교과교육론(Cooking Curriculum Education Theory)
기초적인 이론과 조리교육의 융합을 학습하여 조리교사 지망생들의 교육 전문성 제고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조리교육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직업의식 중심의 직업교육에 대해 학습한다.
고급한국조리(Advenced Korean Cuisine)
한국음식의 고유한 맛을 가지면서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외식산업체에서 활용도 높은 메뉴의 종류와 특징을 이해한다. 한식의 상차림, 일품요리, 연회요리, 코스 정식 등을 파악한다. 외국인이 선호하는 한식의 종류를 조사한다. 외식산업체 현장에서 많이 판매되고 있는 한식을 중심으로 체계적인 조리 실습을 통하여 숙련된 조리법을 익히고 다양하게 응용하여 상품화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고급서양조리(The Professional Western Cuisine)
본 강좌는 기초과정을 마친 학생을 대상으로 고급 서양요리 실습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기초적인 서양음식의 조리기술을 바탕으로 고급서양조리의 분야별 요리를 실습한다. 다양한 식재료 선별과 이에 따른 적정한 조리법을 선택하고 이를 실습한다.
영양학(Nutritions)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무기질 등의 생화학적 배경과 과잉, 결핍할 때의 상호관계를 파악하여 이에 수반되는 여러 가지 영양장애를 학습하며 조리할 때 필요로 하는 영양성분의 변화와 이에 따른 인체에서의 변화를 인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떡한과실습(Traditional Cookies & Rice cake Practice)
계절식이며 특별식으로 가치를 인정받는 병과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한다. 각종 떡을 제조 방법의 특징에 따라 구분하여 파악하고, 한과에 대한 종류와 제조 방법의 특징을 파악한다.
조리과학실습(Practice in Cooking Science)
식품에서의 사용되는 발효의 원리를 이해하고, 기초적 미생물들의 이용 방법을 공부하여 전통적인 장류 및 주류, 김치 및 기타 채소류의 유산균발효식품, 치즈 및 요구르트 등의 낙농발효제품의 제조 원리 및 제조 방법을 강의하고 제조 기법을 습득을 실습한다.
케이크디자인(Cake Design)
앞서 배운 제과 및 페이스트리의 기술을 바탕으로 각종 케이크를 현대적 감각에 맞도록 개발하고 케이크의 심화 기술을 익힌다.
초콜릿/설탕공예(Chocolate/Sugar Arts)
초콜릿의 기본적인 역사에서 이론, 제조, 종류 그리고 쇼콜라디에의 기본적인 테크닉에서 전문적인 테크닉까지 깊이 있게 이해함으로써 새로운 아이디어와 창의력을 가져다줌을 목적으로 한다.
자기개발과진로설계3
전공 교수와의 면담과 철저한 자기분석을 통하여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설계하고, 그에 맞는 자기 브랜드 및 역량과 리더십을 개발하여 사회에서 영향력 있는 인재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하는 전공형 커리어(Career) 개발 교과목이다. 본 교과목은 전공필수로 이수되며 학생은 담당 교수와의 면담과 자기분석 프로그램에 따라 본인의 진로를 설계하고 이에 따른 자기개발을 실천하게 된다.
현장실습(Internal Restaurant Practical Course)
학교에서 습득한 전공교과목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외식산업 및 식품기업 현장에서 직접 경험 및 실행해봄으로 이론과 실천의 연계성과 정체성을 확립해 나간다.
외식서비스마케팅(Food Service Marketing)
외식산업의 발전 방향과 소비자의 외식 행동에 관한 내용을 학습하고, 연계 마케팅, 인터넷 마케팅, 서비스 마케팅, 게릴라 마케팅 등 최근 호응을 얻고 있는 외식업 마케팅을 학습하며, 개업 홍보, 판촉, 단골고객 늘리기 등 마케팅 요령에 대해 학습한다.
식품화학(Food Chemisty)
식품의 화학적 특징을 알아보고 수분,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비타민 등의 중요한 식품 성분의 화학적, 물리적 성질과 식품에서의 역할과 생체 내 역학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외식메뉴관리론(Menu Management)
메뉴에 대한 이론과 실무지식을 학습하여 전반적인 메뉴를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각종 식재료의 특성과 유통과정을 분석, 적정 구매 시기와 구매량을 결정하는 능력을 기르고 식음료 원가에 대한 이론을 정립, 관리자로서 능력을 배양한다.
외식창업운영실습(Food Service Entrepreneurship)
서비스 마케팅의 전반적인 이해 및 경영 실무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이를 통해 외식산업에서의 실무 적응력을 향상시키고, 외식경영을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는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한다.
식품위생(Food Sanitation)
식품의 전처리, 조리 및 생산제조로부터 최종적으로 사람이 섭취할 때까지의 모든 단계에서 식품의 안전성, 건전성 및 식중독 사고를 미리 방지하기 위한 모든 수단의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전문적 지식을 습득한다.
바리스타실습(Barista Practice)
커피의 이해, 커핑, 핸드드립의 이해, 로스팅 이해, 에스프레소 추출법, 우유 데우기, 카푸치노 만들기, 다양한 종류의 커피제조 실습, 음료 응용, 매장시스템 교육 등 현대 카페 운영에 필요한 이론과 실무를 교육하여 현장에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기능성식품학(Functional Foods)
항노화, 항산화, 항암 등의 건강을 증진하는 항산화 성분을 가진 식품의 종류, 특성을 알아보고 그 성분이 추후 건강을 증진하게 시키는 데 이용할 수 있다.
제과제빵이론(Physical Properties of Bakery)
제과·제빵 실습을 통하여 얻어진 기술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 학습을 위하여 제과 및 제빵을 하면서 이루어지는 공정들에 따른 물성의 변화와 재료의 물성에 대한 기초지식과 이에 대한 응용을 습득한다.
창업요리개발실습(Start-up cooking Development Practice)
요리의 기본적 이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요리개발을 통하여 창업에 실제 필요한 메뉴 연구를 한다. 수강생들이 다양한 요리를 접하게 하여 이를 바탕으로 스스로가 직접 메뉴를 만들어 보고 개인의 역량을 발전시켜 사회에 진출할 수 있는 능력발전을 도모한다.
글로벌식문화(Global culture)
세계 여러 지역의 식생활문화 형성 배경과 식생활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고 아시아권, 유럽권, 남미, 북미 등 여러 지역 민족의 식생활 특성, 즉 식생활, 조리 특성, 식사 예절 등을 다룬다.
졸업작품(Final Work Food)
졸업예정자의 실무능력을 배양하고자 1, 2, 3, 4학년의 과정에서 습득한 전공기초, 심화 과정, 응용과정을 모두 적용하여 소수의 팀을 구성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요리의 개발 및 과제선정을 하여 완성된 결과물인 졸업작품을 전시하고 발표회를 진행하여 평가를 받는다.
조리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A Study on the Research and Instruction of Cooking Textbooks)
조리 관련 교과교재를 학습하고 학생들에게 다양한 지도 방법을 익히게 하여 조리에서 원활한 수업 진행과 교사가 지녀야 할 자질을 갖게 한다. 조리와 관련 실습 기자재 및 교재를 통해 학습 방법 및 실제 지도의 경험을 체계적으로 학습한다.